반응형
산초나무

- 영문명 : Mastic-leaf prickly ash
- 과명 : 운향과 ( Rutaceae )
- 속명 : 초피나무속 ( Zanthoxylum )
-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국, 대만, 일본;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분포.
-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한 후 1월에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일부 종자는 2년 후에 발아하기도 한다.
- 재배특성
2년 발아하는 경우도 있다.
- 생육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며 내한성은 강하나 양수로서 내음성이 약하다.
- 크기
높이 3m.
- 형태
낙엽 활엽 관목.
- 특징
▶전라남도 완도군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산초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딱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충청남도 보령시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맹아력은 보통이다. ▶초피나무보다 가치가 적다.
- 꽃
암수딴그루로 8 ~ 9월에 피고 연한 녹색으로 지름이 3mm로 향기가 없으며, 가지 끝에 달리는 편평꽃차례로 길이는 5 ~ 10cm이다. 꽃대에 마디가 있고 꽃받침조각은 달걀형의 원형이며 꽃잎의 길이는 2mm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진다.
- 열매
열매는 삭과로 길이는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검은색으로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 잎
잎은 1회 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13 ~ 21개로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좁아지면서 오목형으로 밑부분이 예형이며, 길이는 1.5 ~ 5cm로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고, 꽃대축에 잔가시가 있다. 산초특유의 향기가 있다.
- 줄기
줄기에 3 ~ 5mm의 가시가 엇갈려서 난다. 일년생가지에 1개씩 떨어져나는 가시가 있다.
- 유사종
▶민산초나무(var. inermis T.Lee): 가시가 없는 것으로 전남지역에 자란다.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좀산초(var. microphyllum T.Lee): 잎이 가늘고 1㎝미만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일년생가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 이용방안
▶열매는 식용유를 만드는 원료이며 여러 가지 조미료로 사용된다. ▶농촌의 주택 주변에 심어 놓으면 모기가 모여 들지 않는다고 하여 모기향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왕초피나무, 산초나무, 초피나무의 과피는 花椒(화초), 근(根)은 花椒根(화초근),엽 (葉)은 花椒葉(화초엽), 종자는 椒目(초목)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花椒(화초) ①9-10월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햇볕에 말려 과피만을 쓴다. ②성분 : Avicennol, avicennin, cis-avicennol, chelerythrine, mitidine 등 그 밖에 coumarin, flavonol, alkaloid가 보고되고 있다. 산초나무 과실에 精油(정유)는 geraniol, limonene, cumic alcohol, 不飽和有機酸(불포화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bergapten과 安息香酸(안식향산)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溫中(온중), 散寒(산한), 除濕(제습), 止痛(지통), 殺蟲(살충), 海魚腥毒(화어성독)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胃內停水(위내정수), 心腹冷痛(심복냉통), 구토, 애기, 咳嗽氣逆(해수기역), 風寒濕痺(풍한습비-풍(風), 한(寒), 습(濕)의 三邪(삼사)에 의한 痺症(비증)), 下痢(하리), 疝痛(산통), 齒痛(치통), 蛔蟲症(회충증), 陰部搔痒症(음부소양증), 瘡疥(창개)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4.5g을 달여서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조합하여 붙이거나 달인 액으로 씻는다. ⑵花椒根(화초근) ①성분 : 산초피나무의 근(根)에는 skimmianine, berberine, aesculetin dimethylether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腎膀胱(신방광)의 虛冷(허냉)으로 인한 색이 탁한 증상에는 조금씩 복용하고 색이 선명하면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⑶花椒葉(화초엽) - 寒赤(한적), 곽란에 의한 轉筋(전근), 脚氣(각기), 漆瘡(칠창), 疥癬(개선)을 다스린다.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달인 액으로 씻는다. ⑷椒目(초목) - 水腫脹滿(수종창만-浮腫(부종)), 痰飮喘逆(담음천역-水液(수액)의 運行(운행)이 정체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15-24g을 달여서 복용하여 쓴다. 陰虛火旺者(음허화왕자-허약하고 흥분을 잘 하기 쉬운 체질)은 복용을 금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희귀, 특산 식물 > 운향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특산식물][운향과] 쉬나무 (0) | 2022.11.27 |
---|---|
[희귀/특산식물][운향과] 상산 (0) | 2022.11.22 |
[희귀/특산식물][운향과] 백선 (0) | 2022.11.17 |
[희귀/특산식물][운향과] 머귀나무 (0) | 2022.11.14 |
[희귀/특산식물][운향과] 개산초 (0) | 2022.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