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새깃아재비

- 영문명 : Asian chain fern
- 과명 : 새깃아재비과 ( Blechnaceae )
- 속명 : 새깃아재비속 ( Woodwardia )
- 학명 : Woodwardia japonica (L.f.) Sm.
- 원산지명
한국,중국,일본,대만,인도네시아,미얀마
- 분포
일본,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 미얀마 / 한국(전라남도 장흥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생육환경
▶숲속에서 자란다.
- 형태
상록다년초
- 열매
포자낭군은 길이 2-5mm로서 주맥 가까이에 달리며 곧고 포막은 두꺼우며 갈색.
- 잎
엽병은 굵고 딱딱하며 길이 30-50㎝이고 엽신은 긴 타원상 달걀모양이며 길이 40-80㎝, 폭 20-35㎝로서 윗부분이 갑자기 뾰족해져 독립된 깃조각처럼 된다. 우편은 10-15쌍으로 선상 피침형이고 대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22, 폭 2-5㎝이며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색이 연하고 맥 위에 갈색 비늘조각이 달리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가라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포자낭군이 달리지 않는 잎은 개변마와 비슷하지만 열편 주맥 옆의 잎맥이 1~3줄의 그물눈을 형성하는 것이 다름.
- 뿌리
굵은 근경은 엽병 기부와 더불어 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이고 옆으로 약간 누우며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
- 보호방안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
- 이용방안
▶관중 및 同屬(동속) 近緣植物(근연식물-참새발고사리, 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새깃아재비, 고비)의 根莖(근경)을 貫中(관중)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엽병,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서 말린다. ②성분 : 관중 근경의 주요성분은 filmarone 이며, 이것은 일종의 복잡한 phloroglucinol 유도체로서 불안정하며 서서히 분해해서 aspidin, albaspidin이 생기고 또 aspidinol, flavaspidic acid, filicinic acid을 함유한다. 그 밖에 精油(정유), filixtanninwlf, 지방, 수지 등을 함유하며 또한 triterpenoid의 fernene, hopene-b(diploptene), adiantone, hydroxyhopane(diplopterol) hopanol-29 (neriifoliol), filicene 등을 함유한다. 포기고사리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 pterosterone을 함유한다. 고비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을 함유한다. 새깃아재비의 근경은 전분(26.5% 혹은 48.5%), tannin을 함유한다. ③약리 : 구충작용, 抗(항)비루스作用(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다. ④독성 : 綿馬(면마-관중의 뿌리를 칭한다)는 유독하므로 그다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隨意筋(수의근)(心筋(심근)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마비)를 일으킨다. 姙婦(임부), 허약환자, 소아, 實質器官(실질기관)의 질병환자, 소화기관 潰瘍患者(궤양환자)는 모두 사용을 금한다. ⑤약효 : 회충, 조충, 요충을 구제,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지혈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溫熱斑疹(온열반진), 토혈, 鼻出血(비출혈), 腸風血便(장풍혈변), 血痢(혈리), 血崩(혈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또 유행성감기, 유행성B형뇌염,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전염병을 예방한다. 그 밖에 월경과다, 風寒濕痺(풍한습비), 腰膝酸痛(요슬산통), 遺尿(유뇨)를 치료한다. ⑥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 가루 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⑦금기 : 陰虛內熱(음허내열) 및 脾胃虛寒(비위허한)한 자에게는 좋지 않다. 姙婦(임부) 등은 금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