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솜대
- 약관심종, 휘귀식물- 영문명 : Henon bamboo
- 과명 : 벼과 ( Poaceae )
- 속명 : 왕대속 ( Phyllostachys )
- 학명 :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원산지명
중국
- 분포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남부 및 충남 이남에 자란다.
- 번식방법
▶분주로 번식한다.
- 생육환경
▶인가 부근에 난다.
- 크기
키가 10m 이상, 지름 5-8cm.
- 형태
다년생 상록 목본
- 특징
오죽과 달리 줄기는 연한 녹색이서 연한 황색으로 변한다.
- 꽃
약 60년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고사한다. 꽃차례를 둘러싼 포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2-5개의 양성꽃과 단성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2m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3개이다. 씨방은 긴 달걀모양이며 암술머리가 3개이고 죽순은 4-5월에 나오며 연한 적갈색이다.
- 열매
남색의 둥근 장과로서 지름 5~7mm이며 붉게 익는다.
- 잎
잎은 피침형이며 1-5(보통2-3개)개씩 달리고 길이 6-10cm, 폭 10-15mm로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주맥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肩毛)는 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진다.
- 줄기
높이 10m이상, 지름 5-8cm이고 처음에는 백분으로 덮여 있지만 황록색으로 된다. 마디가 있고 내공으로 단통형이며 표면은 윤기가 있다.
- 뿌리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 유사종
▶오죽 (P.nigra MUNRO) : 줄기가 검다. ▶반죽 (for.punctata NAK.) : 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고 황색 줄기에 흑색반점이 있다. ▶관암죽(P.compressa UYEKI) : 잎이 3-7(보통5-6)개씩 달리며 가지 첫마디가 편압되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으며 전북 위봉산록에서 재배한다.
- 이용방안
▶솜대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⑴솜대의 莖稈(경간)을 竹茹(죽여)라 하며, 淸熱(청열), 凉血(양혈), 化痰(화담), 止嘔(지구)의 효능이 있다. 煩熱嘔吐(번열구토), 애역, 痰熱咳喘(담열해천), 토혈, 鼻出血(비출혈), 崩漏(붕루), 惡阻(악조), 胎動(태동), 驚癎(경간)을 치료한다. ⑵淡竹根(담죽근) - 煮汁(자즙)은 煩熱(번열)을 祛(거)하고, 消痰(소담), 祛風熱(거풍열)의 효능이 있다. 驚悸迷悶(경계미민), 소아의 驚癎(경간)을 치료한다. ⑶淡竹筍(담죽순)은 消痰(소담), 除熱狂(제열광)의 효능이 있다. 壯熱頭痛(장열두통), 頭風(두풍-신경성두통), 경계, 姙婦頭旋顚僕(임부두선전복), 溫疫(온역-급성전염병), 소아경기, 天弔(천조)를 치료한다. ⑷淡竹殼(담죽각) - 目峠(목예-흑내장, 백내장)를 치료한다. 효능은 態膽(태담)과 같다. ⑸竹葉(죽엽)은 淸熱除煩(청열제번), 生津(생진), 이뇨의 효능이 있다. 열병으로 인한 煩渴(번갈), 소아의 驚癎(경간), 咳逆(해역)에 의한 토혈, 鼻出血(비출혈), 面赤(면적), 小便短赤(소변단적), 구미설창을 치료한다. ⑹말라 죽은 幼葉(유엽)은 竹卷心(죽권심)이라 하며, 淸心除煩(청심제번), 消暑止渴(소서지갈)의 효능이 있다. 화상을 치료할 때 바른다. ⑺莖稈(경간)에서 유출한 액을 竹瀝(죽력)하며 약용한다. 淸熱滑痰(청열골담)하고 鎭痙通竅(진경통규)의 효능이 있다. 중풍에 의한 痰迷(담미), 肺熱(폐열)에 의한 痰壅(담옹), 驚風(경풍), 癲癎(전간), 壯熱(장열)로 인한 煩渴(번갈), 子煩(자번-임신시의 心中煩悶(심중번민)), 파상풍을 치료한다. ⑻시들은 幼竹(유죽)의 莖稈(경간)을 仙人杖(선인장)이라 하며, 反胃(반위), 小兒吐乳(소아토유), 水腫(수종), 각기, 학질, 痔瘡(치창)을 치료한다. ⑼솜대 등에 기생하는 죽벌에 의한 상처로 생긴 유액이 응고한 塊狀物質(괴상물질)은 天竺黃(천축황)이라 하며 약용한다. 淸熱(청열), 化痰(화담), 心凉(심양), 利竅(이규)의 효능이 있다. 열병신혼섬언, 中風痰迷不語(중풍담비불어), 小兒驚風(소아경풍), 癲癎(전간), 肺熱痰壅(폐열담옹)으로 인한 胸悶短氣(흉민단기), 煩滿咳逆(번만해역) 등의 證(증)을 치료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희귀, 특산 식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특산식물][벼과] 쇠보리 (0) | 2022.11.26 |
---|---|
[희귀/특산식물][벼과] 쇠돌피 (0) | 2022.11.26 |
[희귀/특산식물][벼과] 솔새 (0) | 2022.11.25 |
[희귀/특산식물][벼과] 속털개밀 (0) | 2022.11.25 |
[희귀/특산식물][벼과] 섬조릿대 (0)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