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층꽃나무

- 영문명 : Common bluebeard
- 과명 : 마편초과 ( Verbenaceae )
- 속명 : 층꽃나무속 ( Caryopteris )
- 학명 : Caryopteris incana (Thunb. ex Houtt.) Miq.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중국, 대만; 경상남도, 전라남도 남쪽 섬 및 제주도.
- 번식방법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하고 5-6월경에 적당한 곳에 이식해 주면 당년에 개화가 가능하다.
- 재배특성
강건한 식물이라 재배가 용이하나 너무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하면 급속하게 성장하여 당년에 개화하고 죽어버리므로 최대한 척박하고 건조한 조건에서 재배해야 여러해살이풀로 이용이 가능하다. 시비관리는 절대 필요하지 않다.
- 생육환경
햇볕이 잘 드는 척박하고 건조한 절개 사면지 또는 바위곁에 생육한다.
- 크기
높이 30 ~ 60cm.
- 형태
낙엽 활엽 관목.
- 특징
반목본성 식물이다. 지상으로 드러난 밑부분은 목질화하여 살아 있으나 그 윗부분은 죽는다. 속명은 희랍어 karyon(호도)와 pteryx(날개)의 합성어로 종자에 날개가 있음을 나타내고 종명은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음을 나타낸다.
- 꽃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리고, 꽃은 남보라색이며 꽃부리는 길이 5 ~ 6mm로 겉에 털이 있고, 밑부분 열편이 가장 크며 다시 실처럼 갈라진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깊은 5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8월 말 ~ 10월 초에 개화한다.
- 열매
열매는 거꿀달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2mm로 중앙에 능선이 발달하였고, 숙존성의 꽃받침 속에 5개의 열매가 들어 있고, 검은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발달하며, 9월 중순 ~ 11월 중순에 성숙한다.
-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첨두이며 길이와 폭이 각 2 ~ 5cm × 1.5 ~ 3cm로,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5 ~ 10개씩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5 ~ 20mm이다.
- 줄기
윗부분이 겨울동안 죽으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 유사종
▶흰층꽃나무(Caryopteris Miq. for. candida Hara)는 백색꽃이 핀다.
- 보호방안
관상용으로 개발 가치가 높은 식물이므로 대량으로 인공증식하여 경제작물로 이용한다. 자생지 보호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으나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 이용방안
▶절화용으로 좋은 소재이다. 강한 광선이 내리쬐는 척박지를 비롯하여 노출된 절개지 등의 녹화용으로 유망하다. 대규모 면적의 개활지 등에 군식하면 이국적인 경관 연출이 가능하다. ▶全草(전초) 혹은 根(근)을 蘭香草(난향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全草(전초)는 flavonoid 배당체, alkaloid, phenol類(류), steroid, amino acids, 有機酸(유기산), tannin을 함유한다. 그 속에는 일종의 抗菌有效成分(항균유효성분)이 있고, 根(근), 莖(경), 花(화), 全草(전초) 중의 함유량은 각각 1.5·1.5·10.4·5.5·4.7g%로 담황색 혹은 황록색의 粉末(분말)을 이루며 無臭(무취), 味(미)는 微苦(미고)하고, 물에 쉽게 녹으며 水溶液(수용액)은 알칼리性(성)을 나타낸다. Ethanol에는 약간 녹지만 ether, chloroform, acetone 등의 有機溶劑(유기용제)에는 녹지 않는다. ③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止咳(지해),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감기에 의한 發熱(발열), 류머티즘에 의한 骨痛(골통), 百日咳(백일해), 만성기관지염, 월경불순, 崩漏(붕루-자궁암 등에 의한 자궁출혈), 白帶(백대), 産後(산후)의 瘀血(어혈)에 의한 痛症(통증), 타박상, 皮膚搔痒(피부소양), 濕疹(습진),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가서 사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희귀, 특산 식물 > 마편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특산식물][마편초과] 좀목형 (0) | 2022.12.05 |
---|---|
[희귀/특산식물][마편초과] 작살나무 (0) | 2022.12.03 |
[희귀/특산식물][마편초과] 순비기나무 (0) | 2022.11.26 |
[희귀/특산식물][마편초과] 새비나무 (0) | 2022.11.22 |
[희귀/특산식물][마편초과] 마편초 (0)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