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박이

- 영문명 : Snake vine
- 과명 : 새모래덩굴과 ( Menispermaceae )
- 속명 : 함박이속 ( Stephania )
- 학명 :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과 대만, 중국, 필리핀,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홍도, 제주도와 거제도에서 자란다.
- 번식방법
번식은 모수로부터 근맹아를 포기나누기하여 묘목을 얻거나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생육환경
바닷가나 저지대의 산야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약해서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내음성과 내건성도 약하다.
- 형태
상록 활엽 만경목
-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 6-7월에 피고 연녹색이며 겹우산모양꽃차례는 액생하고 많은 꽃이 달리며 수꽃은 꽃받침이 6-8장, 꽃잎은 3-4장,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이 옆으로 터진다. 암꽃은 꽃받침열편과 꽃잎이 각각 3-4개이며 1개의 씨방에 여러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 열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며 지름 6mm정도이고 평활하며 10-11월에 주홍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갈색이며 말굽처럼 생겼고 돌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방패모양의 넓은 달걀모양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6-15cm, 폭 5-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엽병은 길이 3-12㎝이다.
- 줄기
기어오르면서 길게 자란다.
- 이용방안
▶줄기는 바구니 재료로 이용한다. ▶온실식물로 개발할 만하다. ▶根(근) 및 莖葉(경엽)을 千金藤(천금등)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와 지상부분에는 많은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즉 hypoepistephanine, stepholine, stephanoline, homostephanoline, steponine, cyclanoline, metaphanine, protostephanine, epistephanine, stephanine, insularine, hasubanonine, stebisimine, prometaphanine 등이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祛風(거풍), 利濕(이습),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收斂止血(수렴지혈), 말라리아, 이질,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 痰嗽不利(담수불리), 腫疽(종저), 癩(나), 각종 발진, 淋病(임병), 咽喉腫痛(인후종통), 癰腫(옹종),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2g을 달여서, 또는 분말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갈아서 즙을 만들어 입안에 머금는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희귀, 특산 식물 > 새모래덩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특산식물][새모래덩굴과] 새모래덩굴 (0) | 2022.11.22 |
---|---|
[희귀/특산식물][새모래덩굴과] 방기 (0) | 2022.11.17 |
[희귀/특산식물][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