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쐐기풀과

[희귀/특산식물][쐐기풀과] 가는잎쐐기풀

by 식물 정보 2022. 10. 28.
반응형

가는잎쐐기풀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Narrow-leaf nettle
- 과명 : 쐐기풀과 ( Urticaceae )
- 속명 : 쐐기풀속 ( Urtica )
- 학명 :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 생육환경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 50-100cm이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 꽃
꽃은 대개 일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이삭꽃차례는 각 잎겨드랑이에서 2개씩 나오고 윗부분에서 나온 꽃차례에는 암꽃, 밑부분에서 나온 꽃차례에는 수꽃이 달린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각 4개이다. 자화서(雌花序)는 액생하며 암꽃은 4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화피는 숙존한다.

- 열매
수과는 납작한 달걀모양으로 길이 1mm 가량이고 매끈하며 8-9월에 성숙한다.

-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6-12cm, 나비 1.5-5cm로서 짙은 녹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그다지 많지 않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짧은 털이 있거나 없으며 기부 양쪽의 탁엽은 4개로서 길이 7-8mm이고 선형이다.

- 줄기
높이 50-100cm이고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모여나기하고 둔하게 네모지며 자모(刺毛)가 있다.

- 유사종
▶애기쐐기풀(U. laetevirens Maxim.): 줄기는 네모지며 위를 향한 잔털이 있다. 잎은 길이 5-10㎝, 달걀모양,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 양면에 털과 선점이 있다. ▶쐐기풀(U. thunbergiana S. et Z.):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달걀모양, 난상 원형, 길이 5-12㎝, 표면에 황색의 드문 털,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

- 이용방안
▶줄기의 섬유는 직포와 펄프공업에 쓰인다. ▶가는잎쐐기풀, 애기쐐기풀의 전초(全草)는 蕁麻(담마), 근(根)은 蕁麻根(담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蕁麻(담마) ①전초를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다종의 비타민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莖皮(경피)에는 蟻酸(의산), 酪酸(락산) 및 자극성이 있는 산성 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소아마비, 産後抽風(산후추풍), 疝痛(산통), 小兒驚風(소아경풍), 蕁麻疹(담마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하거나 고기와 같이 삶아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혹은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蕁麻根(담마근) ①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疼痛(동통), 고혈압, 수족마비, 습진, 痲風(마풍-Hansen씨병)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