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간주나무

- 영문명 : Needle juniper
- 과명 : 측백나무과 ( Cupressaceae )
- 속명 : 향나무속 ( Juniperus )
- 학명 :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중국; 우리나라 전국 산야 특히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람.
- 번식방법
▶번식은 삽목과 실생으로 행한다. 1.실생 : 실생은 가을 열매 채취후 과육을 제거한 다음 노천매장을 하거나 진한 황산처리를 한 후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대부분 파종 2년만에 발아한다. 2.삽목 : 삽목은 발근이 잘 되며 3월 중순 - 4월 중순경에 전년생가지를 길이 10-20㎝ 크기로 잘라 삽목한다.
- 재배특성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 생육환경
▶양지 바른 산비탈이나 건조하고 메마른 사력지대(砂礫地帶)에서 자란다. 비교적 토양은 가리지 않으며 석회암지대에서도 잘자란다. ▶추위에 매우 강한 양수로서 척박하고 건조한 땅에서도 잘 견딘다.
- 크기
높이 8m, 지름 20cm.
- 형태
상록침엽교목, 수형은 원주형의 로케트형
- 특징
▶노간주 나무는 결실이 많이 된다. ▶일본에서는 가지를 꺽어 쥐구멍에 거꾸로 꽂아두면 바늘같은 잎 때문에 쥐가 침입할 수 없다 하여 "네즈미나시"(쥐를 찌른다는 뜻)라고 이름부를 정도다.
- 꽃
암수딴그루이며, 꽃은 전년지의 잎겨드랑이에서 4~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1~3개씩 달리고 20개 내외의 녹갈색 비늘조각이 있고, 밑 부분에 4~5개의 꽃밥이있다. 암꽃차례는 1개씩 달리고 9개의 씨앗바늘이 있으며, 밑씨는 각각 3~4개이다.
- 열매
구과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8(12)mm이고 두꺼운 육질로 되어 있다. 동합된 씨앗바늘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9개의 포가 있다. 처음에는 녹색이나 후에는 자흑색으로 된다. 종자는 3~4(1)개씩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이 있다. 열매는 꽃이 핀 다음해 10 ~ 12월에 성숙한다.
- 잎
잎은 침상으로 3개씩 돌려나기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 폭 1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의 홈이 있다. 잎끝은 예리하고 딱딱하여 손을 갖다대면 통증을 느낄 정도이다.
- 줄기
높이 8m, 지름 20cm에 달하고 수관이 비짜루처럼 되며 직립한다. 나무껍질이 갈색으로 길게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2년지는 다갈색이다. 일년생가지는 황갈색으로 노목에서는 드리워진다.
- 뿌리
천근성이다.
- 유사종
▶해변노간주나무(var. koreana T. Lee) : 바닷가에서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것을 말한다. ▶두송(I. communis L.): 북부고산지대,잎의 면이 오목하고 백색부가 녹색부보다 넓으며 열매가 잎보다 짧다. ▶곱향나무(J. communis var. nipponica Wilson): 주간이 옆으로 자라고 열매가 잎보다 길며 북부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다.
- 병충해정보
가지와 줄기의 껍질이 거칠어져서 나중에 찢어지고 밤색의 혹같은 것이 튀어 나온다. 이 혹이 여러개 뭉쳐져서 물을 흡수하면 한천상이 되며 뻘겋게 된다.
- 보호방안
▶육묘 생산을 목적으로 할 때는 묘목보다 성목의 양산이 수요나 수익면으로 볼때 기대되는 만큼 장기 계획으로 성목의 상품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용방안
▶목재가 치밀하고 날카로우므로 생울타리를 조성하면 좋다. 정원수나 분재용수로도 이용된다. ▶향료로 사용된다. ▶목재와 가지가 유연하며 물에 잘 썩지 않으므로 써래채,소코트래,소쿠리의 테를 만드는 등 주로 농기구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果實(과실)을 杜松實(두송실)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10월에 과실이 익을 무렵 두들겨 떨어 뜨려서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毬果(구과)는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가지나 잎에 함유된 정유의 성분은 과실의 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 ③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요도 생식기질환, 통풍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바른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희귀, 특산 식물 > 측백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눈측백 (0) | 2023.06.14 |
---|---|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향나무 (0) | 2022.12.14 |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측백나무 (0) | 2022.12.09 |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섬향나무 (0) | 2022.11.24 |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눈향나무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