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물옥잠과

[희귀/특산식물][물옥잠과] 물옥잠

by 식물 정보 2022. 11. 15.
반응형

물옥잠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Korsakow’s monochoria
- 과명 : 물옥잠과 ( Pontederiaceae )
- 속명 : 물옥잠속 ( Monochoria )
- 학명 : Monochoria korsakowii Regel & Maack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 생육환경
▶논이나 고인 얕은 물속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가 30cm에 달한다.

- 형태
1년생 수초이다.

- 특징
▶경상남도 함안군 대송리의 늪지식물은 천연기념물 제34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3,911㎡정도이고, 이곳에 나는 늪지식물은 자라풀, 줄풀, 세모고랭이, 방울고랭이, 창포, 개구리밥, 물옥잠,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붕어마름, 털개구리나리, 애기마름등이 있다.

- 꽃
꽃은 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5-15cm로서 밑부분에 엽상의 포가 있고, 꽃은 꽃자루가 있으며 지름 2.5-3cm로서 청자색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수평으로 퍼지고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5cm, 폭 8mm 가량이다. 수술은 6개로서 5개는 작고 황색이지만 1개는 크고 자주색이며 수술대에 갈고리같은 돌기가 1개 있다. 씨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가늘며 수술보다 긴 씨방은 성숙함에 따라서 밑을 향하기 때문에 처진다.

- 열매
삭과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1cm 정도이며 육질이고 3능상으로 밑으로 처지며 끝에 암술대가 숙존하고 9-10월에 익는다.

- 잎
잎은 밑부분에서 돋은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줄기와 더불어 스폰지같은 구멍이 많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자줏빛이 난다. 엽신은 심장형이며 점첨두이고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4-15cm로서 질이 연하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줄기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다.

- 뿌리
수염뿌리가 있다.

- 이용방안
▶관상용으로 재식한다. ▶全草(전초)를 우구라고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채취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간, 肺經(폐경)에 들어간다. ②약효 : 淸熱(청열), 祛濕(거습), 定喘(정천), 해독의 효능이 있다. 거습의 효과는 茵陳(인진)과 같다. 賽毒(정독)을 疏散(소산)하고 痔病(치병)을 소거하고 눈을 맑게 한다. ③용법/용량 : 6-9g을 달여 복용한다. 小兒(소아) 高熱(고열), 咳嗽(해수)의 치료에는 우구花(화) 8g을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塗布(도포)하거나 분말로 하여 살포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