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새모래덩굴과
[희귀/특산식물][새모래덩굴과] 방기
식물 정보
2022. 11. 17. 03:37
반응형
방기

- 영문명 : Orientvine
- 과명 : 새모래덩굴과 ( Menispermaceae )
- 속명 : 방기속 ( Sinomenium )
- 학명 : Sinomenium acutum (Thunb.) Rehder & E.H.Wilson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의 구주지방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 남쪽 섬에서 자란다.
- 번식방법
종자, 삽목, 휘묻이로 증식한다.
- 생육환경
제주도의 낮은 지대의 숲 가장자리에서 드물게 자란다.
- 크기
길이 7m
- 형태
낙엽 만경목
- 특징
때로는 댕댕이와 비슷하지만 털이 없으므로 구별할 수 있다.
-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 6-7월에 피고 연녹색이며 원뿔모양꽃차례는 액생하고 꽃차례는 길이 10-20cm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6개이며 수꽃은 9-12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가 있다. 암술대는 젖혀지며 암술머리는 갈라지지 않는다.
- 열매
열매는 핵과로서 흑색이며 6-7㎜로서 둥글고 10월에 익는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장상 다각형이며 길이 6-15cm, 폭 3-12cm로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3-7개의 얕은 물결모양의 결각이 있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장상의 맥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5-10cm이다.
- 줄기
길이가 7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으며 종선이 있다.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고 자란다.
- 이용방안
▶蔓莖(만경)을 淸風藤(청풍등)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 또는 겨울에 만경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방기의 줄기와 뿌리에는 sinomenine, disinomenine, magnoflorine, acutumine, sinactine, isosinomenine, tuduranine, sinoacutine, 이-syrigaresinol, palmitin酸(산) methylester, acutumidine, michelalbine, stepharine이 함유되어 있다. 또 β-sitosterol, stigma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진통, 소염, 이뇨약으로서 祛風濕(거풍습), 利小便(이소변)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鶴膝風(학슬풍-膝關節炎(슬관절염)), 水腫(수종), 脚氣(각기), 膀胱水腫(방광수종), 이뇨, 下焦(하초)의 血分濕熱(혈분습열), 안면신경마비, 癰腫惡瘡(옹종악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膏劑(고제)로 만들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