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뽕나무과

[희귀/특산식물][뽕나무과] 천선과나무

식물 정보 2022. 12. 9. 04:34
반응형

천선과나무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Erect fig
- 과명 : 뽕나무과 ( Moraceae )
- 속명 : 무화과나무속 ( Ficus )
- 학명 : Ficus erecta Thunb.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전라남도 도서지역, 제주도.

- 번식방법
삽목에 의해 증식한다. 3월, 6-7월에 가지삽목을 하나 여름에 삽목하면 발근이 더 잘 된다.

- 생육환경
바닷가 산록의 양지쪽에서 잘 자란다.

- 크기
높이 2 ~ 4m.

- 형태
낙엽 활엽 관목.

- 특징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숲에서 나는 수종은 생달나무, 광나무, 비쭈기나무, 모람, 송악, 졸참나무, 참느릅나무, 쥐똥나무, 붉나무, 검양옻나무, 윤노리나무등이 있다. ▶상처를 주면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처럼 흰 유액이 나온다.

-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개화하며,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의 화경이 자라고 끝에 3개의 포가 있으며 그 위에 둥근 화낭(花囊)이 있다. 주머니 같은 화낭은 지름 15mm내외로서 그안에 많은 꽃이 들어 있으나, 꽃은 화낭에 싸여 볼 수 없다. 수꽃은 5~6개의 화피열편과 3개 정도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대가 있는 1개의 씨방에 짧은 암술대가 있다.

- 열매
열매는 은화과(隱花果)로 수과이고 모양이 둥글고 지름 1.5mm이다. 8월 중순 ~ 이듬해 2월 말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화낭이 자라서 열매로 되며 자흑색으로 익으면 식용한다.

- 잎
잎은 어긋나기로 도란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4)6 ~ 20cm ×3 ~ 8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표면에 털이 악간 있는 것도 있고 잎맥이 뚜렷하게 돌출하며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 줄기
높이 2~4m이고 나무껍질은 평활하며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새 가지에서 껍질눈이 발달하여 무늬처럼 보인다.

- 유사종
▶좁은잎천선과나무(var. sieboldii King) : 잎이 좁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맹아지의 잎이 거치상이고 남쪽섬에 자란다. 젓(젖)꼭지나무라고도 한다. 천선과나무와 같은 지역에 자라고 있다. ▶인도고무나무(F. elastica Roxb.): 잎은 타원형, 긴 타원형, 길이 10-13㎝, 끝이 뾰족하며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죽질이다. ▶천선과나무(F. erecta Thunberg): 나무껍질은 매끈하고 가지는 회백색으로 털이 없다. 잎은 도란상 타원형, 도란상 긴 타원형, 길이 5-10㎝이다. ▶모람(F. nipponica F. et S.): 잎은 긴 타원형, 가죽질, 뒷면은 흰색, 길이 4-11㎝, 그물맥이 뚜렷하게 솟아 있다.

- 이용방안
▶식용이나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조경가치 및 용도 : 꽃은 화낭에 싸여 볼 수 없고 주로 광택이 있는 잎과 붉게 물드는 단풍이 감상의 대상이 된다. 건물주변이나 주택정원 등에 이용 가능하다. ▶과실은 우내장, 根(근)은 우내장근, 莖葉(경엽)은 우내시라 하며 약용한다. ⑴우내장 ①과실이 성숙되는 가을에 채취한다. ②약효 : 緩下(완하), 潤腸(윤장)의 효능이 있고 치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⑵우내장근 ①연중 수시로 캐서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健脾(건비), 益氣(익기), 活血(활혈),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勞倦乏力(노권핍력), 食少(식소-식욕부진), 乳難(유난-難産(난산)), 월경불순, 脾虛白帶(비허백대), 脫肛(탈항), 류머티즘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우내시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補中(보중), 益氣(익기), 健脾(건비), 化濕(화습), 强筋壯骨(강근장골), 消腫(소종), 活血(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관절염, 中氣虛弱(중기허약), 氣血衰微(기혈쇠미), 사지산언(사지에 힘이 없고 나른하다), 筋骨不利(근골불리), 타박상, 經閉(경폐), 産後乳汁缺乏(산후유즙결핍)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