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갈매나무과
[희귀/특산식물][갈매나무과] 청사조
식물 정보
2022. 12. 9. 05:34
반응형
청사조

- 영문명 : Paniculous Supplejack
- 과명 : 갈매나무과 ( Rhamnaceae )
- 속명 : 망개나무속 ( Berchemia )
- 학명 :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 분포
일본; 안면도.
-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정선한 후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가나 당년에 자란 가지를 꺾꽂이한다.
-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하고 양지나 음지 모두에서 생장이 좋다. 건조에는 약하며 비옥적윤한 곳에서 번무하고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 크기
길이 10m.
- 형태
낙엽 활엽 덩굴성.
- 특징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 꽃
7 ~ 8월에 개화하며 원뿔모양꽃차례로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수술은 꽃잎보다 길다.
- 열매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이며,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고 가을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각 8 ~ 13cm × 4.5 ~ 7cm로, 끝이 다소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을 띠며 7 ~ 8쌍의 측맥이 있고, 맥 위에 갈색 털이 있다.
- 유사종
▶먹넌출(var. magna Makino): 청사조에 비해 잎이 크며(길이 8-13㎝,너비 4.5-7㎝) 충남 서산군 안면도에서 자란다.
- 보호방안
자생지가 4~5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이용방안
철망이나 울타리,스크린에 올려서 갖가지 형상으로 키우면 좋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