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노박덩굴과
[희귀/특산식물][노박덩굴과] 털노박덩굴
식물 정보
2022. 12. 12. 03:03
반응형
털노박덩굴
- 약관심종, 휘귀식물- 영문명 : Hairy oriental bittersweet
- 과명 :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 속명 : 노박덩굴속 ( Celastrus )
- 학명 : Celastrus stephanotiifolius (Makino) Makino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 번식방법
종자를 파종하여 번식한다.
- 생육환경
산기슭의 숲 속에 자라며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건성,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 크기
길이 10m, 직경 20㎝에 이른다.
- 형태
덩굴성 낙엽 관목
- 꽃
취산꽃차례는 액생하며 짧은 화경에 몇 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녹황색이며 짧고 굽은 센털이 있으며 꽃자루가 짧다.
- 열매
열매는 삭과로 지름 5-6mm로서 난상 구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타원형, 타원형,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급첨두 또는 급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나비 5-8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색이며, 특히 주맥 위에 굽은 오황색(汚黃色) 털이 많고 엽병은 길이 2-3cm이다.
- 줄기
가지는 회갈색이며 껍질눈이 드문드문 있고 털이 많지 않으며 일년생가지에 밑으로 꼬부라진 짧은 센털이 있다.
- 유사종
▶노박덩굴(C. orbiculatus Thunb.): 잎은 길이 5-10㎝, 나비 3-8㎝의 타원형으로 끝이 갑자기 좁아지며 밑부분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이용방안
울타리나 큰키나무에 덩굴식물로 식재하여 아름다운 열매를 감상하거나 꽃꽂이 소재로 이용한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씨는 제유용으로 사용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