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측백나무과

[희귀/특산식물][측백나무과] 눈측백

식물 정보 2023. 6. 14. 03:02
반응형

눈측백

- 휘귀식물, 취약종
- 영문명 : Korean arborvitae
- 과명 : 측백나무과 ( Cupressaceae )
- 속명 : 눈측백속 ( Thuja )
- 학명 : Thuja koraiensis Nakai

- 원산지명
한국,만주

- 분포
중국; 한국(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태백시)와 북한의 아고산지대에서 자라는 고유식물.

-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1.실생 :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노천매장 후 봄에 파종한다. 2. 삽목은 2월경에 하거나 장마철을 피해 6월초~6월말, 8월말~9월초에 1년생 가지로 한다.

- 생육환경
햇볕이 잘 드는 곳 중 주로 토심이 깊고 부식질이 많으며 적당한 보습성과 배수성을 지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음성(耐陰城)은 강하나 내건성(耐乾性)이 약하다. 양수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 크기
수고 10~20m, 지름 20~30㎝의 소교목이지만 흔히 2m 미만의 관목상으로 자람.

- 형태
상록침엽 소교목, 수형:원뿔모양.

-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측백은 천연기념물 255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년 ⓓ나무높이:11m ▶자생지에 따라서 성목의 최대수고가 차이를 나타내어 성목의 수고가 2m에 이르고 가지가 밀생하며 직립형 수형을 나타내는 종류를 비롯하여 지면에 밀착하여 50~70cm 정도로 낮게 자라는 것들도 있다.

- 꽃
암수한그루로 5월에 피며 수꽃차례는 달걀모양이고 황색이며 암꽃차례는 달걀모양이고 길이 3mm로서 8개의 비늘조각으로 구성된다.

- 열매
구과는 길이 9mm, 지름 6mm로 타원형이며 9월경에 짙은 갈색으로 익어 벌어진다. 씨앗바늘은 긴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큰 것은 길이 7~9mm, 나비 4.5~5mm이다. 종자는 한 열매에 5~10개 들어 있으며 넓적한 타원형이고 길이 6mm내외로서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 잎
잎은 둔두로서 중앙부의 것은 능형, 옆의 것은 타원상 삼각형이고 길이 1.8~2.4mm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2개의 뚜렷한 백색 줄이 있으며 향기가 강하다.

- 줄기
높이 10~20m, 지름 20~30cm의 소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으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적색으로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일년생가지는 붉은 갈색에 가늘고 납작하다. 가지는 모두 선록색이다.

- 유사종
▶측백나무(T. oreientails L.) ▶서양측백나무(T. occidentails L.)

- 보호방안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자생지가 넓게 분포하며, 개체수도 많으나 기후변화에 따른자생지감소가일어날수있다. 자생지확인및유전자원의현지내외보전.

- 이용방안
▶상록의 잎은 관상 가치가 뛰어나고, 방향성이 있어 조경용 소재로 가치가 높다. 지피용, 생울타리용으로 이용하면 좋다. ▶주로 잎(측백엽), 근피(백근백피), 줄기(백지절), 종자내의 인(백자인), 수지(백지) 등을 약용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