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산형과

[희귀/특산식물][산형과] 등대시호

식물 정보 2024. 1. 19. 03:09
반응형

등대시호

- 위기종, 휘귀식물
- 영문명 : Big-bract hare’s ear
- 과명 : 산형과 ( Apiaceae )
- 속명 : 시호속 ( Bupleurum )
- 학명 :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 원산지명
한국,만주,우수리

- 분포
러시아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충청북도 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 번식방법
8월말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분주는 거의 안된다.

- 재배특성
고산성 식물이므로 여름철의 더위에 매우 약하다. 원래 양지성 식물이나 재배시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반그늘에서 재배한다. 토양은 물빠짐이 양호한 사질토양이 좋으며 습기에는 특히 약하다. 시비작업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으며 부적절한 시비는 식물체를 고사시킨다.

- 생육환경
높은 산 정상부근의 노출된 메마른 풀밭

- 크기
보통 8-12cm

- 형태
여러해살이풀

- 특징
▶고산성 식물로 꽃의 모양이 독특하다.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91)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꽃
소산경(小傘梗)은 7-8개이고 작은포는 5개이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6-9m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고 화경이 거의 없다. 개화기는 7-8월로 줄기나 가지끝에 자녹색 또는 적자색의 우산모양꽃차례가 달린다. 암술대의 기부가 처음에는 자주색이지만 점차 적자색으로 되고 암술대는 자주색이며 뒤로 말리고 씨방은 긴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 열매
분과는 타원형으로 자주색으로 익는다.

- 잎
근생엽은 선형이며 폭 1-3mm로 7맥이 있고, 줄기잎은 좁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지만 윗부분의 것은 좁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맥이 많으며 어긋나기한다. 포는 달걀모양이고 3개이며 길이 1-2cm, 폭 5-8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 줄기
꽃차례와 더불어 높이가 40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나 보통 8-12cm이고 털이 없다.

- 뿌리
식물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부의 뿌리가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간다.

- 유사종
▶시호(B. falcatum L.) ▶참시호(B. scorzoneraefolium Wild.)

- 보호방안
고산지역에 좁게 분포하며, 전국적으로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다. 개체는 군집을 이루며 자란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이용방안
초물분재 등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희귀한 식물이므로 식물전시회 등에 전시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뿌리를 말린 것을 시호(柴胡)라 하며 해열, 진정 및 진통, 소염작용, 항병원체 작용 등이 있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