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특산 식물/운향과

[희귀/특산식물][운향과] 머귀나무

식물 정보 2022. 11. 14. 03:31
반응형

머귀나무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Alianthus-like prickly-ash
- 과명 : 운향과 ( Rutaceae )
- 속명 : 초피나무속 ( Zanthoxylum )
- 학명 :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필리핀, 중국, 대만, 일본; 울릉도와 남쪽 섬에 분포.

-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1월중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종자는 일부 2년 후에 발아하기도 한다.

- 생육환경
바닷가에 자라고 양수로서 내건성이 강하나 내한성은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하기가 힘들다. 동백나무와 후박나무, 사스레피니무 같은 상록활엽수와 함께 혼생한다.

- 크기
높이 15m.

-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 특징
대부분의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3지목(三枝木)같은 인상을 준다.

-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 7 ~ 8월에 피고 새가지 끝에 산형상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황백색이다. 꽃받침조각은 둥글며 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꽃대의 가장자리에 선상의 잔톱니가 있다.

- 열매
삭과는 구형이고 크기는 5 ~ 6mm이며, 종자는 크기가 4mm로 흑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가 적고 매운맛이 있는데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되며 10 ~ 11월에 성숙한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는 40cm이고, 소엽은 19 ~ 23개이고 두꺼우며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형이다. 뒷면은 회갈색이고 선상의 잔톱니가 있고, 작은잎자루 짧다.

-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으며 줄기와 가지에 굵고 예리한 길이 5~7mm의 가시가 있어 줄기를 보호한다.

- 유사종
▶민머귀나무(var.inermis T.Lee) : 가시가 없으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좀머귀나무(Z.fauriei Ohwi) : 소엽이 7-11쌍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7.5cm정도로서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고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병과 가시에 붉은 빛이 돈다. 머귀나무에 비하여 잎이 소형이다.

- 이용방안
▶목재는 기구재와 조각재로 이용한다. ▶바닷가의 풍치수로 식재할 만한 수종이다. ▶열매는 기름을 짜서 각종 재료로 이용한다. ▶과실은 食茱萸(식수유), 나무껍질은 樗葉花椒皮(저엽화초피)라 하며 약용한다. ⑴食茱萸(식수유) ①10-11월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종자와 과피에는 isopimpinell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溫中燥濕(온중조습), 殺蟲(살충),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心腹冷痛(심복냉통), , 寒飮(한음-臟器(장기) 기능이 마비되어 분비물이 정체하는 증상), 水樣性下痢(수양성하리), 冷飮食物(냉음식물)의 下痢(하리), 濕痺(습비), 赤白帶下(적백대하),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달인 액으로 씻는다. ⑵樗葉花椒皮(저엽화초피) ①입하 전후 나무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나무껍질에는 skimmianine, magnoflorine, laurifoline,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근(根)에는 dictamnine, xanthyletin, skimmianine, laurifoline, nitidine이 함유되어 있고 나무껍질에는 xanthyletin, hesperidin이 목부(木部)에는 dictamnine, skimmianine, magnoflorine 등이 , 엽(葉)에는 精油(정유), 樹脂(수지), phenol성(性)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精油(정유)에는 methyl-n-nonyl-ketone이 함유되어 있고 생엽(生葉)에서는 β-sitosterol이 추출되었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經絡疏通(경락소통), 살충의 효능이 있다. 부인(婦人)의 産後關節風痛(산후관절풍통)을 다스리며 毒蛇(독사)의 咬傷(교상), 타박상, 腰膝疼痛(요슬동통), 疥癬(개선), 墅膜(초막)에 물이 고이는 것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