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미나리아재비과

[희귀/특산식물][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

by 식물 정보 2022. 12. 12.
반응형

투구꽃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Monk’shood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 )
- 속명 : 투구꽃속 ( Aconitum )
-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 번식방법
분주나 실생으로 번식한다.

- 재배특성
배수가 잘 되는 부식질이 많은 점질토양에서 잘 자라며 내습성 식물로 충분히 관수 관리한다. 저지대에서는 곤란하고, 이식이 용이하다.

- 생육환경
▶심산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내음성 식물로 단일성이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15-25℃에서 잘 자란다.

- 크기
높이 1m에 달한다.

- 형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 특징
환경내성은 보통이나 저지대에서는 곤란하다.

- 꽃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꽃자루에 털이 많다. 꽃 전체 모양은 고깔이나 고깔모양꽃부리이다. 꽃받침조각은 꽃잎같이 생겼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뒤쪽의 것은 고깔같고 이마쪽이 뾰족하게 나와 있으며 중앙부의 것은 약간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긴 대가 있고 가장 윗부분의 꽃받침조각 속에 들어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우상으로 넓어진다. 씨방은 3-4개로 털이 있다.

- 열매
열매는 골돌(骨突)로서 타원형이고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줄기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 뿌리
마늘쪽같은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한다.

- 유사종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 Koidz.): 뿌리는 둥글고 뾰족하며 어긋 달리는 잎은 삼각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서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식물(식-64호), 산림청의 멸종 위기식물(보존순위33)로 지정한 법정 보호식물이다. ▶노랑투구꽃(Aconitum sibiricum Poir.): 연한 황색으로 피는 꽃은 꼿꼿이 선다.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tum Nakai): 자주색 꽃에는 털이 많다. ▶흰진범(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8월에 피는 꽃은 연한 보라색을 띤 흰색이다. ▶참줄바꽃(Aconitum neotortuosum Nakai): 꽃은 보라색이고 원뿔모양 뿌리를 약재로 쓴다.

- 이용방안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덩이뿌리를 草烏頭(초오두)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줄기와 잎이 말랐을 때 뿌리를 캐어 남은 줄기, 잎, 흙을 제거하고 햇볕이나 불에 쬐어 말린다. ②성분 : 草烏(초오)에는 acpmotome. ju[acpmotome, mesaconitine, ceoxyaconitine, deoxyaconitine, beiwut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散寒(산한), 止痛(지통), 開痰豁(개담활),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惡風(악풍-뇌졸중), 咳逆上氣(해역상기), 반신불수, 옹종정독, 大風(대풍)으로 인한 頑痺(완비), 風寒濕痺(풍한습비), 중풍에 의한 사지마비, 파상풍, 돌발적 두통, 胃,腹冷痛(위,복냉통), 痰癖(담벽), 氣塊(기괴-假性 腫塊(가성 종괴)), 冷痢(냉리), 喉痺(후비), 癰疽(옹저), 정창, 나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6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로 조합하여 붙이거나 醋(초), 酒(주)와 함께 갈아서 바른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