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미나리아재비과

[희귀/특산식물][미나리아재비과] 한라돌쩌귀

by 식물 정보 2022. 12. 13.
반응형

한라돌쩌귀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East Asian monk’shood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 )
- 속명 : 투구꽃속 ( Aconitum )
- 학명 : Aconitum japonicum Thunb. subsp. napiforme (H.Lév. & Vaniot) Kadota

- 원산지명
한국,중국,일본

- 분포
일본, 중국 / 한국(전라남도 완도군; 한라산)

- 번식방법
11월말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모주 주변에 흩어뿌리기를 하여도 자연발아가 아주 용이한 식물이다. 열매가 성숙하면 종자가 쉽게 비산되므로 채종시기와 방법에 주의한다. 지하부에는 작은 덩이줄기가 발달되어 있다. 지하부의 덩이줄기 상부에는 묵은 뿌리가 얹혀있는 상태이며 덩이줄기는 옆으로 계속하여 증식되며 퍼져 나간다. 분주는 잘 되지 않는다.

- 재배특성
투구꽃 종류들 가운데 비교적 재배가 쉽고 다화성이며 성질도 강건하므로 재배작물로 이용하기도 용이하다. 낙엽교목의 하부나 반그늘진 곳의 부엽이나 유기질이 풍부하고 보습성이 좋은 토양에서 재배한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촉진한다. 여름철에는 서늘한 조건이 생육에 좋다.

- 생육환경
한라산의 부엽이 두껍게 쌓여 비옥하고 습기가 풍부한 토양조건의 양지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가 45-100cm가량 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 특징
한라산 일원에 자생하므로 "한라돌쩌귀"라고 한다.

- 꽃
꽃은 9월에 피고 길이 27-36mm로서 청자색이고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산방상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2-3cm로서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뒷쪽 꽃받침조각은 길이 11-22mm, 폭 14-20mm로서 부리가 있고 측열편은 길이 12-19mm, 폭 9-17mm이며 앞쪽 열편은 길이 10-16mm, 폭 2-6.5mm이다. 씨방은 털이 없다.

- 열매
골돌은 3개이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6.5-15cm, 폭 7.5-18cm로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에 작은잎자루가 있으며 측열편은 다시 2개씩 깊게 갈라진 다음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중앙열편은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결각이 있으며 길이 5.5cm-11cm, 폭 3.5-7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꼬부라진 털이 있거나 없다.

- 줄기
높이 45-100cm이고 밑부분을 제외하고 굽은 털이 있다.

- 뿌리
지하부에 원뿔모양의 작은 덩이줄기가 달려있는데 매년 자기 몸의 포기만큼 새로운 덩이줄기를 형성하여 옆으로 이동하면서 자라난다.

- 유사종
우리나라에는 투구꽃을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Aconitum속 식물이 약 25종 이상 자생하고 있는데 잎의 형태나 꽃의 모양, 지하부 뿌리모양(진범, 흰진범, 노랑투구꽃 등은 제외)이 모두 유사하고 자생지 또한 산속의 계곡주변이나 낙엽수림 밑 등과 같이 습윤한 곳에서 자란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꽃의 모양이 투구와 비슷하므로 투구꽃류라고 부르기도 한다.

-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이용방안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절화용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낙엽교목 하부의 지피식재용 식물로도 좋다. ▶덩이뿌리를 草烏頭(초오두)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줄기와 잎이 말랐을 때 뿌리를 캐어 남은 줄기, 잎, 흙을 제거하고 햇볕이나 불에 쬐어 말린다. ②성분 : 草烏(초오)에는 acpmotome. ju[acpmotome, mesaconitine, ceoxyaconitine, deoxyaconitine, beiwutine이 함유되어 있다. 한라돌쩌귀에는 mesaconitine, hypaconit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散寒(산한), 止痛(지통), 開痰豁(개담활),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惡風(악풍-뇌졸중), 咳逆上氣(해역상기), 반신불수, 옹종정독, 大風(대풍)으로 인한 頑痺(완비), 風寒濕痺(풍한습비), 중풍에 의한 사지마비, 파상풍, 돌발적 두통, 胃,腹冷痛(위,복냉통), 痰癖(담벽), 氣塊(기괴-假性 腫塊(가성 종괴)), 冷痢(냉리), 喉痺(후비), 癰疽(옹저), 정창, 나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6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로 조합하여 붙이거나 醋(초), 酒(주)와 함께 갈아서 바른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