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노박덩굴과

[희귀/특산식물][노박덩굴과] 나래회나무

by 식물 정보 2022. 11. 7.
반응형

나래회나무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Ussuri splindletree
- 과명 :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 속명 : 화살나무속 ( Euonymus )
- 학명 : Euonymus macropterus Rupr.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국, 극동 러시아, 일본;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북도, 전라남북도 등 백두대간 분포.

-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2년간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파종한다.

-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하며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잘 자란다. 내건성이 약하여 습기가 있는 곳을 좋아하고 내조성이 강하고 공해에 대한 저항성도 높다.

- 크기
높이 10m.

- 형태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 꽃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은 녹색이며 지름이 6mm로 6 ~ 7월에 피고, 꽃부분은 4수이고, 꽃대 길이는 3 ~ 10cm이다.

- 열매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4개의 날개가 있으며 날개의 나비는 1 ~ 1.8cm이고, 날개의 나비를 합한 열매는 지름 2 ~ 2.5cm, 높이가 1cm이다. 종자는 붉은 노란색 종의에 싸여 있으며 붉은 갈색이고 9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달걀형 또는 거꿀달걀형의 긴타원모양이고, 첨두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5 ~ 12cm × 3 ~ 7cm로, 안으로 굽은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 윗면에 홈이 있다.

- 유사종
▶버들회나무(E. trapococus): 전국의 해발 100-1100m 사이의 산록과 계곡에 자생, 나래회나무에 비해 겨울눈이 짧고 둥근 것.

- 이용방안
도로변이나 공원,또는 정원에 식재하여 관상용으로 이용하기 좋은 수종이다. 줄기껍질은 섬유용으로 목재는 조각재나 세공재로 쓰인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