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특산 식물/노박덩굴과

[희귀/특산식물][노박덩굴과] 미역줄나무

by 식물 정보 2022. 11. 15.
반응형

미역줄나무

- 약관심종, 휘귀식물
- 영문명 : Regel’s threewingnut
- 과명 : 노박덩굴과 ( Celastraceae )
- 속명 : 미역줄나무속 ( Tripterygium )
- 학명 :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미얀마, 중국, 대만, 일본; 황해도를 제외한 전국.

- 번식방법
번식은 뿌리에서 나온 것을 포기나누기하거나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생육환경
내한성과 내건성,내조성,내공해성이 강하고 내음성은 조금 약한 편이다. ▶지리산에서는 천왕봉과 중봉사이의 해발 1,800-1,900m 지역까지 자라고 있다. 높은 산의 중복부 이상에 많이 분포한다.

- 크기
길이 2m.

- 형태
낙엽 활엽 덩굴성.

- 특징
속명 Tripterygium은 열매에 3개의 날개가 달렸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 맹아력이 강해서 번무한다.

- 꽃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와 폭이 각 10 ~ 25cm × 5 ~ 6mm로,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은 백색이며 6 ~ 7월에 피고, 꽃부분은 5수성이다.

- 열매
열매는 시과로 연한 녹색이지만 붉은빛이 돌고, 날개가 3개있으며 길이와 폭이 각 12 ~ 18mm × 12 ~ 18mm로 끝이 오목하며 9 ~ 10월에 성숙한다.

-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형이고 밝은 녹색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15cm × 4~10cm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존재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1.5 ~ 3cm로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마르면 잎과 더불어 검은색이 된다.

- 이용방안
▶척악지나 절사면에 식재하면 황폐를 막을 수 있다. ▶관상용이나 열매가 달린 가지는 꽃꽂이소재로 이용된다. ▶根(근), 莖(경) 및 花(화)를 雷公藤(뇌공등)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항백혈병작용이 있는 diterpenoid의 triptolide와 tripdiolide가 함유된 외에 triptonide가 함유되어 있다. 또 celacinnine, celabenzine, celafurine 및 wilfordine, wilforine, wilforgine, wilfortrine, wilforzine 등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이 밖에 hypolide, celastrol, dulcitol 및 포도당, 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살충, 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 저작권 : 본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저작권리는 국립수목원 또는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작성하여 개방한 '산림청 국립수목원_식물자원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수목원,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