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생멸종종87 [희귀/특산식물][백합과] 한라꽃장포 한라꽃장포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Halla asphodel - 과명 : 백합과 ( Liliaceae ) - 속명 : 꽃장포속 ( Tofieldia ) - 학명 : Tofieldia coccinea Richardson var. fauriei (H.Lév. & Vaniot) T.Yamaz. - 분포 일본 / 한국(제주도) - 생육환경 고산의 바위 틈 -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 꽃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로 약간 성글게 달리며 꽃차례는 길이 6cm에 달하고 꽃자루는 과시에 길이 1.5~5mm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2.5~3.5mm이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보다 약간 길다. 화경은 높이 6~21cm이고 1~2개의 소엽이 달린다. - 열매 삭과는 거꿀달.. 2022. 12. 13. [희귀/특산식물][국화과] 키큰산국 키큰산국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Linear-leaf leucantheme - 과명 : 국화과 ( Asteraceae ) - 속명 : 키큰산국속 ( Leucanthemella ) - 학명 : Leucanthemella linearis (Matsum.) Tzvelev - 원산지명 한국,일본,만주,아무르,우수리 - 분포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수원시; 경상남도 밀양시, 산청군; 울산시) - 생육환경 습지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 30-100cm - 형태 여러해살이풀 - 꽃 꽃은 9-11월에 피며 백색이고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3-6cm이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5-6mm, 지름 1.5cm로서 축모(縮毛)가 있다. 포편은 거의 같은 길이이며 외편은 선형이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막질.. 2022. 12. 11. [희귀/특산식물][미나리아재비과] 큰제비고깔 큰제비고깔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Maack’s larkspur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 ) - 속명 : 제비고깔속 ( Delphinium ) -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Regel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국, 러시아 / 한국(경기도 이북) - 번식방법 10월말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반그늘진 습윤한 곳에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분주는 잘 되지 않는다. - 재배특성 대표적인 고산성 식물로서 재배는 상당히 난해한 식물이다. 토양은 부식질이 풍부하고 습윤한 곳이 좋으며 반그늘 상태에서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여름철의 고온조건에는 대단히 약하므로 직사광선을 피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서 재배한다. 이식력도 좋지 .. 2022. 12. 11. [희귀/특산식물][용담과] 큰잎쓴풀 큰잎쓴풀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Large tetrapetal swertia - 과명 : 용담과 ( Gentianaceae ) - 속명 : 쓴풀속 ( Swertia ) - 학명 : Swertia wilfordii (A.Kern.) Kom. - 분포 중국 / 한국(강원도; 경상북도 울진군) - 생육환경 산지 - 크기 높이 10~30cm이다. - 형태 두해살이풀 - 꽃 꽃은 8~9월에 자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모여 달려 전체가 원뿔모양꽃차례를 형성하고 꽃자루는 길다. 꽃받침은 깊이 4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0mm 내외이며 5~7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에 선체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꽃부리 기부에 달린다. - 열매 과실은 삭과이고 포간.. 2022. 12. 11. [희귀/특산식물][난초과] 큰방울새란 큰방울새란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Asian pogonia - 과명 : 난초과 ( Orchidaceae ) - 속명 : 방울새란속 ( Pogonia ) - 학명 : Pogonia japonica Rchb.f.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 번식방법 땅 속에서 옆으로 뻗는 뿌리가 있으므로 가을의 분갈이 때에 이것을 잘게 절단하여 번식시킨다. 그러나 3~5cm 이하의 짧은 뿌리는 개화할 때 까지 2~3년을 요하므로 너무 짧게 자르지 않는 것이 좋다. 다른 방법으로는 어미포기의 뿌리목에 씨를 뿌려서 실생묘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 생육환경 습지에서 자란다. 산지 양달의 습한 들에서 보이며, 자생지가 대단히 산성이 강한 곳이 많다. .. 2022. 12. 10. [희귀/특산식물][난초과] 청닭의난초 청닭의난초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Green-flower helleborine - 과명 : 난초과 ( Orchidaceae ) - 속명 : 닭의난초속 ( Epipactis ) - 학명 :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 한국(강원도 삼척시, 영월군, 홍천군) - 생육환경 금강산 이북의 높은 지역 숲속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 30-70㎝ - 형태 여러해살이풀 - 특징 근경이 발달한 다년생 난으로 곧게 서는 줄기에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의 잎이 붙는다. - 꽃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차례에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다. 포는 잎같고 꽃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반쯤 벌어지며 긴.. 2022. 12. 9. 이전 1 2 3 4 5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