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야생멸종종87

[희귀/특산식물][물레나물과] 채고추나물 채고추나물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Attenuate St. Johnswort - 과명 : 물레나물과 ( Clusiaceae ) - 속명 : 물레나물속 ( Hypericum ) - 학명 : Hypericum attenuatum Fisch. ex Choisy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전역) - 생육환경 전국 각처 햇볕이 잘 드는 산야의 메마른 풀밭. - 크기 높이가 30~80cm에 이른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 꽃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3cm로서 황색이고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장이고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윗부분에 흑색 점이 있으며 꽃잎은 가장자리가 다소 물결모양이고 길이 9-15m.. 2022. 12. 9.
[희귀/특산식물][꼬리겨우살이과] 참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Silverberry-like taxillus - 과명 : 꼬리겨우살이과 ( Loranthaceae ) - 속명 : 참나무겨우살이속 ( Taxillus ) - 학명 : 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 한국(제주도) - 번식방법 겨울철 새들이 열매를 쪼아먹기 위해 과육을 파헤친다. 이 때에 종자가 나무에 부착되거나, 새의 똥과 함께 배설된 종자가 나무가지에 부착되어 자연적으로 증식된다. 종자는 발아 후 5년이 지나야 본잎이 나온다. - 생육환경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및 육박나무에 기생하고 보리수나무와 비슷한 감이 있다. - 크기 높이 40-60㎝,지름이 1m.. 2022. 12. 8.
[희귀/특산식물][꼬리고사리과] 차꼬리고사리 차꼬리고사리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Maidenhair spleenwort - 과명 : 꼬리고사리과 ( Aspleniaceae ) - 속명 : 꼬리고사리속 ( Asplenium ) - 학명 : Asplenium trichomanes L. subsp. quadrivalens D.E.Mey.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중국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완도군, 해남군; 제주도) - 생육환경 ▶산중 바위 틈이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 15-30cm - 형태 상록다년초 - 특징 ▶꼬리고사리와 비슷하지만 모여나기하는 엽병이 차를 젓는 솔과 비슷하기 때문에 차꼬리고사리라고 한다. - 열매 포자낭군은 대개 10개 이내가 2줄로 달리며 포막은 길이 1.5mm이다. - 잎 엽병은 길이 1-5.. 2022. 12. 8.
[희귀/특산식물][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 주름고사리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Big-ear twinsorus fern - 과명 : 개고사리과 ( Athyriaceae ) - 속명 : 주름고사리속 ( Diplazium ) - 학명 : Diplazium wichurae (Mett.) Diels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 한국(전라남도 여수시; 제주도) - 생육환경 ▶습한 음지에서 자란다. - 형태 상록다년초 - 열매 포자낭군은 주맥 양쪽에 1줄로 달리고 포막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때로는 2개가 맞닿는다. - 잎 엽병은 길이 10-30㎝로서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있고 비늘조각은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흑갈색으로 길이 4-6mm, 폭 1-1.5mm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짧은 꼬리처럼 발달하고 길이.. 2022. 12. 6.
[희귀/특산식물][고란초과] 주걱일엽 주걱일엽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Oblong-sorus lance fern - 과명 : 고란초과 ( Polypodiaceae ) - 속명 : 주걱일엽속 ( Loxogramme ) - 학명 : Loxogramme grammitoides (Baker) C.Chr. - 원산지명 한국 - 분포 일본, 중국 / 한국(제주도) - 생육환경 ▶계곡 그늘진 바위 겉의 이끼틈에서 자란다. - 형태 상록다년초 - 열매 포자낭군은 잎이 넓은 부분에 2-12개가 2줄로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이고 주맥 가까이에 비스듬히 달린다. - 잎 잎은 길이 4-12㎝이고 주걱모양 또는 선상 주걱모양이며 둔두 또는 약간 예두로서 끝부분의 약간 밑이 가장 넓고 나비 5-15mm이며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털.. 2022. 12. 6.
[희귀/특산식물][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 좁은잎덩굴용담 - 야생멸종종, 휘귀식물 - 영문명 : Twining pterygocalyx - 과명 : 용담과 ( Gentianaceae ) - 속명 : 좁은잎덩굴용담속 ( Pterygocalyx ) - 학명 : Pterygocalyx volubilis Maxim. - 원산지명 한국,중국,일본,대만 - 분포 일본, 중국 / 한국(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태백시) - 형태 여러해살이풀 - 특징 덩굴용담에 비해 잎이 넓은 피침형 - 꽃 꽃은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고 꽃받침통은 길이 1.5-2cm로서 5개의 날개가 있으며 때로는 한쪽이 깊게 파열되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3-5mm로서 뒷면이 날개모양이며 좌우가 편평하다. 꽃부리는 길이 3-3.5cm.. 2022. 12. 6.
반응형